아토피 피부염은 영유아기에 흔한 만성 재발성 염증성 피부질환으로 유병율은 1~20%로 다양하게 보고되어 있습니다. 아토피
피부염은 '알레르기 행진'의 가장 초기 임상 증상으로 환자의 45% 가 생후 6개월 이내 60%가 첫 1년 동안에 , 85%가 5세 이전
에 발병합니다. 성인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약 17%는 사춘기 이후에 발병한 경우입니다. 아토피 피부염은 식품알레르겐, 흡입
알레르겐, 기타 자극성 물질 등 감염성 물질에 의하여 증상이 유발됩니다.
아토피 피부염의 발병 원인은 유전적 요인, 면역반응의 이상, 피부 보호막의 이상 등 영유아기때부터
흔히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피부질환입니다. 증상으로 가려움증, 습진성 발진이 있으며 증상의 악화와 호전이 반보적으로 나타납니다. 연령에 따라 특정적인 피부 병변의 분포와 양상을 보이며 가족력에 있어서 아토피 병력을 보이는 것이 특징입니다.
치료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는 정확한 진단과 피부 병변의 평가가 우선 되어야 하며 악화 요인의 확인과 제거 피부 보호 장벽의 회복을 위한 피부관리, 국소 항염증 치료제 등의 약물 치료를 기초로 체계적이고 다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1. 피부관리
목욕 혹은 샤워를 하루에 1회 정도 시행하며 피부 표면에 존재하는 자극성 물질, 알레르겐, 세균 등을 제거하고 외부로부터 피부에
수분을 공급해 줍니다.
2. 약물치료
가장 흔히 사용하는 약물은 알레르기 질환에서 염증을 가라앉히는데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는 국소 스테로이드제입니다.
국소 스테로이드제는 연고, 크림, 로션 등의 제형이 있습니다.
3. 환경관리
온도는 18~23℃ 습도는 40~50%로 유지하며 피부와 직접 접촉이 이루어지는 수건, 배게, 이불의 커버 등 모두 면으로 된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집먼지 진드기는 주로 습한 환경에서 자라므로 적정 실내 습도를 유치하고 집먼지진드기의
서식처 가 되는 카펫, 침대 매트리스, 천으로 된 소파, 커튼 등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토피 피부염 (0) | 2025.05.10 |
---|---|
알레르기 비염 Allergic Rhintis (0) | 2025.05.03 |
건강한 삶을 위한 작은 습관들 오늘 (0) | 2025.05.01 |